최근 경유 차량의 운행에 제동이 걸렸다.
그 이유는 경유차량에 들어가는 '요소수'라는 액체 때문이었다.
이 요소수가 부족하게 되면, 많은 화물 차량들이 멈춰서게 될 것이고, 각종 유통업은 마비가 될 것이다. 택배를 비롯해, 각종 재료 및 자재 등의 수급에 어려움이 생기고, 공사 현장들은 모든 작업이 멈출 것이다. 또 많은 사람은 이동이 어려워지고, 일자리를 잃게 되는 등... 요소수로 인해 직·간접 피해는 막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즉, 나라 경제의 한 부분이 흔들리게 되는 것이다.

요소수가 꼭 필요한 화물 차량을 이용해 생계를 유지해 가는 많은 사람들은 걱정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부의 발빠른 대처로 일단 급한 불은 끈 상태지만, 우라나라는 요소수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언제 다시 이런 일이 생길지 모르기 때문이다.
왜 요소수 부족 사태가 생겼는지 그리고 해결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요소수는 경우가 연소하면서 배출하는 배기가스(질소산화물)를 줄이기 위해, 경유 차량에 넣는 필수품이다. 질소산화물은 인체에 노출되면, 기관지염이나 폐렴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 물에 요소를 혼합한 요소수라는 액체를 자동차에 넣어 배기가스를 저감한다. 경유차는 요소수가 없으면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화물차 차주들은 요소수를 구하기 위해 여기저기 동동걸음을 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1
이 요소수의 부족 현상이 왜 생기게 된 것일까?
현재 우리나라는 요소수의 주원료인 요소를 전량 수입하고 있고, 수입량의 80%는 중국에서 들여온다.2 이렇게 수입에만 의존하는 물건들은 우리나라에서 자체 수급되는 것보다 불안정할 수 밖에 없다.
다각도로 얽혀있는 국제 관계 속에서 무역은 수 없이 많은 위험 요소들이 존재한다. 이런 위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수입 공급망을 다양화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또 현재 수입 의존도가 높은 원료나 재료들을 국산화하기 위한 움직임도 필요하다. 또 수량만 확보했다고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이번 요소수 사태가 그러했다. 여기저기 끌어모아, 부족한 요소수의 물량이 확보됐다고 정부는 발표했지만, 실수요자들은 요소수를 확보하지 못해 혼선이 빚었다. 수입된 요소수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어떻게 판매되는지도 자세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요소수 대란 문제가 발생한 틈을 비집고 매점매석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정부는 요소수 유통라인을 정비하고, 원활한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번에 명확히 정리해야 할 것이다.
본 기자는 자동차를 사용하지 못한다고 해서 큰일이 날 거라고는 생각해 보지도 못했다.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요소수라는 액체가 나라 전반에 혼란은 야기시켰고, 요소수로 인해 나라 경제의 일부가 마비될 수도 있었던 긴박한 상황이었다.
이번 요소수 사태는 수입에만 의존하는 원자재에 대한 고민을 할 수 있었던 좋은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지금이 원자재와 원료의 원활한 공급을 여러 각도로 고민하고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생각된다. 지금 고민하지 않으면, 다음엔 요소수가 아닌 더 큰 무언가가 우리 경제와 생활을 뒤흔들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안정적인 나라 경제를 위해서라도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각주
1.인용: https://auto.v.daum.net/v/20211106120019995
2.인용: https://auto.v.daum.net/v/20211106120019995